작품 비평, 글

정영주 작가 2013. 3. 29. 11:08

  도시- 사라지는 풍경

 

정영주의 작업은 내가 발 딛고 있는 이곳이 무엇인가 하는 질문을 느닷없이 던져준다.

거대한 빌딩 앞에 오래된 주택들이 맞서듯 들어서 있다. 아득한 높이와 반듯한 창과 꾸김없는 몸체를 보이는 빌딩 아래로 낡은 지붕과 블록 담장, 오래된 대문과 굴뚝으로 이어진 주택가가 그것이다. 수직의 반듯한 선과 옆으로 끊어졌다 이어지는 좌충우돌 하는 선들로 얽힌, 서로 어울리지 않는 시간과 공간이 동시적으로 공존하고 있는 셈이다. 현실에 견고하게 뿌리박은 <도시풍경>은 그렇게 시작된다.

그러나 풍경 같았든 이 장면은 곧 아무런 배경 없이 빌딩 아래 낡고 작은 주택 몇 채와 병치되면서 하나의 도상으로 화면 속에 덩그러니 놓인다. 화면의 배경으로 처리되는 단색의 색상과 반복되는 도식적 형상은 현실의 구체성을 재현하거나 묘사하기보다 이 상황 자체를 지칭하는 기호로 작동한다.

새로 지은 빌딩의 그늘 아래 놓인 오래된 집이거나, 거대한 아파트 단지 아래 늘어선 주택가이거나, 몇 채의 빌딩 아래 덜렁 배치된 단독주택은 작품 간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하나의 기호로 우리에게 주어질 뿐 현실 재현의 심급은 보이지 않는다. 도리어 같은 소재와 내용이 반복되면서 풍경은 현실에서 철저하게 분절된다. 그것은 어떤 것의 묘사가 아니라 어떤 의미의 반복된 노출과 강조에 가깝다. 구성과 색채로 해체되고 재배치되는 것이다. 느닷없는 질문이란 이런 순간을 말한다. 이번 정영주 작업에서 일견되는 태도이다.

 

도시는 우리에게 무엇일까. 그것은 낡고 오래된 집과 골목으로 이어진 시간과 공간의 더께를 간직한 기억이다. 그 기억에 현재의 갈등과 미래의 갈망이 얽히는 곳이다. 도시는 그것 자체로 있는 것이 아니라 욕망들이 들끓고 증식하는 곳이다. 그 욕망은 기호들로 드러난다. 그 기호는 도시라는 기표로서 건물과 길과 잡다한 표지들로 이루어진다. 그 건물과 길과 표지들은 그들 스스로 증식하고 의미화 된다. 이들 사이에서 형성되는 욕망들은 서로 기대면서 두께를 만든다. 그것은 우리를 되돌아볼 이상이 어디 있는지를, 인간이 지향하는 삶의 과거와 현재를 묻고 아우르는 현장이기도 하다.

그러나 그가 보여주는 이 둘의 공존 관계는 도시형성의 필연적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불협화로 드러난다. 선명한 대비는 통약불가능한 사태들의 표지에 다르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이해에는 어딘가 모자라는 듯한 묘사와 현실의 비구체성을 들어 의미를 단순하게 말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그래서일까 도리어 이런 모자람에서 그 의미가 무엇인지를 묻기보다 그 기호들이 만드는 기표들의 움직임에 주목하게 한다. 일견 단순하고 선명하게 드러나는 도시의 신구, 빈부, 선택과 방기의 차이가 아니라 도시를 분절시키는 태도가 그것이다.

 

그의 <도시풍경>은 우리에게 삶을 부여하는 것이 아니라 기표들에 미끄러지는 부정된 삶에 개입하는 것이다. 어디에도 삶의 흔적이 자리 잡지 못하는 사태로서 부유하는 기호일 뿐인 도시를. 기의 없는 기표로서 끝없이 미끄러져 다닐 뿐인 황망함을 만나는 것이다.

어떤 정체성도 갖지 못하는, 발 디딜 곳 없이 미끄러운 기표로서 도시, 그래서 다시 묻는다. 의미가 아니라 이게 어디쯤인지를.

강 선 학(미술평론가)

 

City- disappearing Landscapes

 

Joong Young-Ju's works unexpectedly ask a question on the place where I am stepping on.

 

Old houses are like sitting face to face before gigantic buildings. They are lined with worn-out roofs, block walls, and old gates, and are under faintly high buildings with straight windows and uncrumpled bodies. There unfittingly exist both straight vertical lines and haphazardly broken lines at the same time in the same place. That is where <City Landscape> starts its conversation by rooting its firm reality.

Yet this scenery soon gets placed into a canvas as one iconographic figure juxtaposed with shabby small houses under buildings and without any background. The singular background color and repetitive iconographic conformations are working as symbols of the current condition rather than representing or describing concreteness of reality.

For old houses under the shade of newly built buildings, residential areas under tall apartment complexes, or detached houses scattered under couples of buildings, there is no representative hierarchy but only symbolic messages that ignore certain degree of differences. Instead, this repetitiveness of the same subject matter and contents cuts away the scenery on canvas from reality. It is more like a recurrent exposure and emphasis of certain meaning rather than its portrayal. It is disassembled and rearranged by its composition and colors. The unexpected question is being asked in this very moment. And this attitude of the artist sustains though out the series.

 

What is "a city" to us. It is the memory with plies of time and space through shabby old houses and streets. With that memory, conflicts of present and longings of future twurgle together. City is not just as it is, it is the place where these longings and desires boil up and luxuriate themselves. And they appear as symbols. The symbols are signifiers called as cities and are composed of buildings, streets, and sundry signs. These elements increase and symbolize by themselves. And the plies are thickened as driven desires from them lean on one another. This is the place where we ask and look back to ourselves in order to understand where our reflective ideal is and what our past and present are like.

 

Although the coexisting relationship between two contrasting segments of city is an inevitable condition of city-formation, its appearance is in great dissonant. This vivid contrast is nothing different from a sign of unreducible states. Nevertheless, there could be some danger of overgeneralizing its meaning in this way of understand as it is less specific and less descriptive. Yet this cautiousness makes the viewers concentrate on the movements made by signifiers rather than studying the exact meanings of each paintings. It is the very attitude which dissects the city than its simple and plain differences in between new/old, rich/poor, and selected/neglected.

 

Young-Ju's <City Landscape> is not presenting the life to us but participating in an indecisive life floating upon signifiers. Her works are placing audiences in the precipitous spot where they face the city that is just one flying sign for no traces of life and a signifier without a signified.

It is about a city as one slippery signifier with no identity. Thus, here I am questioning again. And it concerns whereabout, not its meaning. 

                                                                                                            Kang Sun-Hak (Art Critic)

 

 

*작가 노트:

 

도시- 사라지는 풍경

 

 나는 도시 빌딩 숲 사이에 가려져 있는 판자촌을 발췌하여 풍경으로 표현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한지를 캔버스에 붙여 형태를 만들고 그 위에 채색하는 파피에 콜레 기법을 응용한 기법을 쓰고있는데 재료가 갖는 독특한 물성 - 빛을 흡수하여 따뜻하게 발색하는 - 에 부조기법을 혼용해 작품을 더 촉각적으로 강조하고 따뜻한 느낌으로 표현하고 싶었다.

    

 과거의 추억을 머금고 있는 기억의 조각조각들이 한 데에 모여 현재의 나를 만들듯이 종이 조각 하나하나가 모여서 집이 되고 마을을 이루며 세계를 만든다.

 집이라는 것은 단순히 물리적 공간을 넘어 나의 정신과 문화의 터전이며 또한 나의 역사이기도하다. 그러나 사람들은 새로운 것을 위해 기꺼이 과거의 것은 부수고  버리고 잊어버린다  .

 자고 일어나면 없어지고 새로 생기곤 하는 빌딩들이 과연 나에게 어떤 추억을 만들어줄 수 있을지... 그곳엔 사람은 없다, 아니 나는 없다..

 

거대한 빌딩 속에서 소외된 채 숨어 살고 있는 판잣집과 잊혀진 추억들을 과감하게 등장시켜 그들에게 주인공의 역할을 부여해주고 싶다.

동시대에 존재하면서도 거대한 자본주의의 논리에 가려져 보이지 않는 그들과 그것들.(그것이 무엇이든지 간에) 도저히 주인공이 될 수 없는 현실....

나는 나의 작업을 통해 소외된 것들과 잊혀진 것들을 그 속에서 끄집어내어 그들의 파라다이스로 바꿔보고 싶었다.

현재의 모습이면서 과거의 그것처럼 보이기도 하는 시간을 초월한 그 무엇은 나로 하여금 내가 서있는 곳이 어디 인지를 다시금 되돌아보게 한다. 

 

한지가 빛을 흡수하듯이 나를 흡수하듯 받아들이는 따뜻한 마을의 모습을 통하여

 언제든 지치거나 힘들 때 돌아가면 받아주는 마음속 고향 같은 따뜻함과 고요한 안정감을 느끼게 하고 ,인간에게 진정으로 소중한 것은 무엇인가를 한번쯤 생각하게 하고자 한다.

 

*Artist's note

City- disappearing landscape

 

- Joung young-ju

My working is about portraying shanty town hided by packed buildings in the city. I usually paste korean handmade paper on the canvas and then color, which is similar to 'papier colle' technique. I really like that technique because of the korean hand made paper's unique characteristics which absorb sunlight and reveal it warmly, so I am using this materials in my works from when I had studied in Paris.

For me, what I am is the assemble of all fragments of my memories in the past. I want to do the same thing in my works with papers on the canvas like making a house, town and world with hundreds of pieces of papers in my works. House is not only a physical space but also the base of my spirit and culture as well as my private history. But many people always pursue something new while they easily forget and destroy the old ones like old houses in the shanty town. Can new buildings around us which suddenly appear overnight make good memories to me and other people? No, there is no human nature, there is no me. So I want to give disappearing shanty town and old memories a important role as a main actors in our life in my works. In this respect, my works are really paradoxical cause it is impossible shanty town and old memories would be a mainstream in this generation covered with massive buildings and capitalism.

My works are some kind of attempt to express paradise with somethings alienated or forgotten. I also want to take some time for self-examination with my works because I usually express city landscape which looks like the present as well as looks like the past, which is something surpassing the time. I wish my works give some silent stability and warmth to the audiences who have some difficulties or got tired with warm shanty town on my canvas. Moreover, I wish my works want to be a good guidance to the audiences which make them think what are the most valuable things to the human natures.

 

 

하늘을 조각내는 허공의 전깃줄과 주황색 백열등이 켜진 정영주의 밤 풍경은 옛 골목과 그 속의 삶을 떠올리게 한다. 옹기종기 모인 집들 사이 골목에는 새파랗게 달빛이 쏟아진다. 달빛 쏟아지는 골목 어귀에서 어느 시인은 가난한 사랑을 노래했다. 그렇게 작은 집들에는 가족의 따뜻함이 있었고, 집들 사이 골목에는 희망찬 유년의 기억 혹은 청년의 뜨거운 사랑이 담겨 있다. 반면 어떤 이에게는 끔직한 가난의 기억일지도 모르는 그 달빛 가득한 동네는 이제 몇몇 남지 않았고 기억 속으로 멀어져간다.

- 스페이스 오뉴월 서준호

 

사라지는 것에 대한 아쉬움과 그를 넘어선 두려움은 항상적(恒常的) 감성이라 아우르기는 어렵지만 보편적으로 감정의 기저에 내재되어 있음은 부정하기 힘들다. 시공간적으로 존재하고 있으며 감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대상이 실체를 잃고 기억 속으로 소멸하는 것은 대상에 대한 개인적 관련성 여부를 떠나 자신의 존재 역시 시간의 흐름에 비추어 동일시하게 되므로 서글프다. 정영주 작가는 사라지는 풍경이라 명명한 작품 속에서 하늘, 즉 무한의 연속성을 가진 공간을 전선줄이라는 실물적 소재로 구분하여 현실성을 부여하고 화면의 일정 부분만을 할애하여 도시의 정경을 위치시키면서 도시의 사라져가는 풍경과 그것에 담긴 인간성과 같은 내면적 요소를 포함한 메시지를 전달한다.

-케이 아크 갤러리 이규원-

 

 

정영주 작가의 작품은 한지를 이용한 까닭에 질감이 느껴지는 입체적인 그림이다. 울퉁불퉁한 요철이 느껴져서 거칠게 보이지만 그림이 주는 이미지까지 거칠지는 않다. 역시 화폭에 담겨있는 대상이 갖는 의미 덕분에 푸근하다. 언제라도 다시 돌아가 안기고 싶은 어머니의 품처럼. 어딘지 콕 집어 말할 수는 없지만 왠지 어디선가 본 듯한, 언젠가 가본 듯한 기시감을 느끼게 하는데, 아마도 그것은 잊혀진 추억과 거세된 과거로의 회귀본능 때문이 아닐지.. 유감스럽게도 그 본능은 그 무엇으로도 충족될 수 없음을 알기에 그녀의 그림을 가만히 서서 바라보고 있노라면 가슴 한 구석이 시려오는 것만 같아 춥고 슬펐다.

개인적으로 몽환적인 이미지가 느껴지는 월하의 산동네 그림이 특히 더 마음에 든다. 특정 지역을 그대로 옮긴 것은 아니고 여러 지역의 이미지를 모자이크처럼 조합해낸 그림으로 추정(?)된다는 큐레이터의 부연설명이 있었다. 실재이면서 실재가 아닌, 어디선가 본듯 하지만 어디라고 말할 수는 없는 모호함이 추억에 대한 향수와 함께 환상적인 이미지를 부여해주는 것 같다.

- 문화 중개인 -김기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