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법보신문 기사 (7월5일자)

정영주 작가 2017. 7. 4. 15:11

 

마음 문 여는 일상의 감동스러운 사건

▲ 정영주, ‘사라지는 풍경’, 116.7×80cm, 2016 : 어떤 장소에 가면 잊고 있던 추억이 와르르 쏟아질 때가 있다. 예기치 못한 장소에서 마음을 움직이는 사람을 만났을 때도 마찬가지다. 낯선 여행지에서 두리번거리고 있을 때 처음 본 사람이 베풀어준 작은 친절은 얼마나 사람의 마음을 훈훈하게 해주는가. 따뜻한 말 한마디와 사려 깊은 배려는 여행자의 기억에 오래도록 사라지지 않고 기억된다. 추억이 담긴 집이 그러하듯.

‘아직도 이런 풍경이 남아 있다니….’

 

아련한 향수 일으키는 정겨운 풍경들

선뜻 자기 우산 건네주는 친절한 사람

예기치 않았던 선물 받고는 큰 감동

타인 바라보는 시각 수정하게 만들어

 

강의를 하러 목포에 갔다. 목포대 평생교육원 요청이라 강의 장소가 목포인 줄 알았는데 무안이었다. 목포와 무안은 붙어 있는 도시였다. 목포든 무안이든 낯설기는 마찬가지여서 두 도시의 차이점을 생각하지 못하고 갔다. 지방 강의를 자주 다니는 만큼 아무리 낯선 장소라도 찾아가는 것은 어렵지 않다. 그런데 부르는 측에서는 그게 아닌가보다. 기차를 타고 간다고 했더니 친절하게도 목포역까지 마중을 나오겠다고 했다. 나는 거절하지 않았다. 대우를 받고 싶어서가 아니었다. 택시를 타고 강의 장소까지 혼자 갈 수도 있지만 역에서 누군가 나를 기다려주면 왠지 그 도시가 푸근해지면서 낯설음이 사라지기 때문이다.

 

이번에는 여성 두 명이 나왔다. 한 사람은 내 또래였고 한 사람은 조금 어려 보였다. 같은 여자라는 동질감 때문이었을까. 뒷좌석에 앉아 창밖을 구경하는데 그 어느 때보다도 마음이 편안하다. 편안함의 근원은 꼭 동질감 때문만은 아니었다. 풍경에서 오는 느낌이 훨씬 컸다. 차창 밖으로 보이는 풍경을 보고 있자니 마치 타임머신을 타고 70년대로 공간이동을 한 것 같았다. 도로변에 들어선 상가들은 거의가 단층이거나 2층 건물이었다. 간혹 고층 건물도 있었으나 지나가는 사람을 위협할 정도로 높지는 않았다. 고압적이거나 과시하는 듯한 건물은 보이지 않았다. 낮은 언덕을 끼고 작은 집들이 다닥다닥 붙어있는 모습도 보였다. 저곳에 살던 사람들은 지금 어디에서 무엇을 하고 있을까. 문득 궁금해졌다.

 

나는 결혼하고 지금까지 줄곧 아파트에서 살았다. 그것도 항상 10층이 넘는 고층에서만 살았다. 28년을 허공 위에서 잠을 잤으니 땅이 그리울 때도 된 것 같다. 그동안 아파트에 살았던 이유는 무엇보다도 편리했기 때문이다. 주택은 스스로 관리를 해야 하고 고장 나면 수리도 해야 한다. 손재주 없는 사람에게는 불편하고 거추장스러운 공간이다. 그런 이유로 기피했던 주택을 요즘 자주 생각한다. 통영의 동피랑마을, 부산의 감천마을 같은 오래된 주택을 검색하는 횟수가 늘어나는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편리하고 깨끗한 아파트 대신 불편하고 낡은 주택이 자꾸 눈에 들어온다. 주택에는 아파트처럼 규격화된 틀이 담아내지 못한 사람 사는 이야기가 있을 것 같다. 비뚤배뚤한 골목길을 따라 가다 보면 집집마다 가족들이 둘러앉아 도란도란 이야기를 나누고 있을 것 같고, 그 골목에서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놀고 있으면 저녁밥 먹으라고 부르시는 어머니의 목소리가 들려올 것만 같다. 이제는 뿔뿔이 흩어져 명절 때가 되어도 만나기 힘든 가족들을 볼 수 있을 것 같고, 기억조차 가물가물한 친구들도 부를 수 있을 것 같다. 어쩌면 이런 상상은 어린 시절에 내가 살았던 골목길에 대한 추억 때문인지도 모른다. 이제는 다시 볼 수 없는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 때문이고, 돌아갈 수 없는 과거에 대한 향수 때문일 것이다. 차창 밖으로 낡은 주택이 이어지는 동안 정체를 알 수 없는 애틋한 감정도 이어졌다. 지금은 그때보다 훨씬 더 풍요롭게 사는데 그때가 지금보다 더 행복하게 느껴지는 것은 왜일까.

 

한참을 달려 강의 장소에 도착했다. 전남도청이 들어선 무안 신도시는 목포와는 전혀 다른 별세계였다. 마치 서울을 그대로 옮겨놓은 듯 고층건물과 아파트가 들어서 있었다. 무안에 들어서자 나는 다시 타임머신을 타고 2017년으로 돌아온 것 같았다. 정신이 번쩍 들었다. 번쩍 든 정신으로 강의는 무사히 잘 마쳤다.

 

강의를 마치고 다시 목포역으로 향했다. 아까 마중 나왔던 두 사람 중 내 또래 여성이 운전대를 잡았다. 강의를 다 마쳤다는 안도감 때문인지 이야기가 술술 풀렸다. 다른 사람도 비슷하겠지만 나는 강의 전에 잡담하는 것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강의 전에는 말을 아끼고 정숙한 마음으로 침묵을 지키는 것이 강의에 대한 예의일 것 같아서였다. 강의를 앞둔 사람의 긴장감도 나를 과묵하게 한 원인일 것이다. 매번 하는 강의이지만 항상 긴장되고 항상 신경 쓰이는 것이 강의다. 반대로 강의가 끝났을 때는 모든 속박에서 해방된 듯한 자유로움을 맛보게 된다. 그런 이유로 목포역으로 가는 20분 동안 그녀와 나는 많은 얘기를 주고받았다. 자식들 얘기, 살림하는 얘기, 그리고 일하는 여성으로 살아가는 얘기를 허물없이 주고받았다. 아까 보았던 주택가에서 옛 친구를 만나 수다 떠는 기분이었다.

 

그런데 가는 도중 비가 내렸다. 처음에는 한두 방울 떨어지는가 싶더니 시간이 지날수록 빗방울이 굵어졌고 급기야는 앞을 분간할 수 없을 정도로 마구마구 쏟아졌다. 그러나 전혀 걱정은 되지 않았다. 강의도 끝났고 이제 집에 가는 일만 남았으니 설령 옷이 비에 젖는다 해도 문제될 것은 없었다. 더구나 오랜 가뭄 끝에 내린 단비가 아닌가. 즐거운 마음으로 얘기를 하는 사이 어느새 목포역에 도착했다. 비는 더욱 세차게 내렸다. 비록 빗줄기는 거셌지만 차 내리는 곳에서 역사까지 뛰어가면 문제될 것이 없었다. 그런 계산을 하고 있는데 운전대를 잡고 있던 그녀가 백미러로 나를 쳐다본다.

 

“비가 많이 오는데 이거 쓰고 가세요.”

 

그 말과 함께 자신의 가방에서 우산을 꺼내서 나에게 건넨다. 첫눈에 봐도 고급스런 우산이다. 우산을 산 사람의 취향이 느껴질 정도로 디자인이 독특했다. 아끼던 물건임에 틀림없다.

 

“아닙니다. 내리면 바로 역인데 그냥 가도 됩니다.”

 

나는 극구 사양했다. 특강을 하러 왔기 때문에 다시 온다는 기약도 없었다. 오늘 처음 만났고 또 언제 다시 볼지 모르는 사이였다. 그런 사람에게 우산을 받을 수는 없다. 그런데 그녀 또한 양보할 기세가 아니었다. 자칫하면 내려서 내게 우산을 씌워줄 기세였다. 이 빗속에 그녀를 내리게 하면 그것이야말로 더 큰 민폐일 것 같았다. 결국 나는 그녀가 준 우산을 쓰고 차에서 내렸다. 나는 생전 처음 만난 그녀가 주차장을 빠져나갈 때까지 오랫동안 그 자리에 서 있었다. 예기치 못한 선물을 주고 간 그녀가 마치 한 가족처럼 느껴졌다. 나에게 우산을 주기 위해 오래된 슬레이트집 대문을 밀치고 나온 친구처럼 생각되었다.

 

류시화의 ‘새는 날아가면서 뒤돌아보지 않는다’에는 다음과 같은 글이 적혀 있다.

 

“선물은 우연한 것일 때 마음에 더 새겨진다. 특히 낯선 사람으로부터 오는 선물은 인생에 깊은 영향을 미친다. 그것은 타인을 바라보는 시각을 수정하게 만들고, 형제애에 한 걸음 다가가게 하며, 내 삶의 범위를 확대시킨다. 명상이나 종교를 통해 나 자신이 모든 존재와 연결되어 있음을 이해할 수도 있지만, 어느 순간 나를 감동시켜 자아의 문을 열게 하고 생생한 유대감을 느끼게 하는 것은 그런 우연한 선물이다.”

 

목포에서 받은 우연한 선물. 지금 내 곁에는 타인을 바라보는 시각을 수정하게 만들고 내 삶의 범위를 확대시켜 준 우산이 놓여 있다.

 

조정육 미술평론가 sixgardn@hanmail.net

 

[1398호 / 2017년 7월 5일자 / 법보신문 ‘세상을 바꾸는 불교의 힘’]